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 Knowledge/기타34

[Linux] 일반계정 Sudoers 사용하기 보통 Linux 서버를 운영하면, 관리자 계정과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나뉘어져 운영을 하게 된다. 관리자 계정은, 보통 root 계정(관리자 권한) 사용자 계정은, 운영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 or 개발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계정(사용자 권한)을 말한다. 그런데 리눅스 서버에 서비스를 운영하다보면, 일반 사용자 계정을 사용 하는 사람도 때에 따라서 관리자의 권한이 필요할 때가 있다.(예를 들면 서비스 시작/중지/재시작 등.) 이때, 일반 사용자는 su 명령어를 통해서 root 권한으로 로그인하여 관리자 계정으로 재로그인 할수도 있지만, Sudo 라는 명령어를 통해서 임시적으로 root 권한을 가질 수 있다. Sudo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관리자가 일반계정에 sudo 사용 권한을 주어야 하는데, 권한을 .. 2021. 12. 22.
CentOS 7에 Gradle 설치(Install) 미리 준비(Prerequisites) Java JDK 버전 8이상 설치 필요 Gradle 설치 Gradle은 간편한 yum 설치가 안된다. 설치방법 : "Package Manager를 이용한 설치" or "수동(manually) 설치" 수동설치 가이드 Step1. Download the latest Gradle distribution. # wget https://services.gradle.org/distributions/gradle-7.2-bin.zip Step2. Unpack the distribution # mkdir /opt/gradle # unzip -d /opt/gradle gradle-7.2-bin.zip # ls /opt/gradle/gradle-7.2 bin init.d lib LICEN.. 2021. 8. 25.
리눅스 vi 줄번호 표시 Vi 편집기에서 라인번호 표기하기 위한 조치사항 줄번호 보이기 기능 켜기 Vi 편집기 안에서 명령 :set number 또는 :set nu 줄번호 보이기 기능 끄기 :set nu! Vi/vim 을 열때마다 줄번호 보기 세팅을 하고 싶다면. 설정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Default Setting) vi ~/.vimrc 라인추가 set number [결과] 2021. 8. 19.
Nginx 디렉토리 지정 설치 yum으로 설치해도 되나, CentOS repository에서 제공하는 openssl은 업데이트가 느리고, 관리상의 편의를 위해 디렉토리를 지정하여 컨파일 설치를 진행합니다. 미리 설치(pre-requirement) Nginx 소스 컴파일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zlib $ wget http://zlib.net/zlib-1.2.11.tar.gz openssl $ wget http://www.openssl.org/source/openssl-1.1.1j.tar.gz gcc $ yum install gcc gcc-c++ pcre $ wget http://downloads.sourceforge.net/project/pcre/pcre/8.45/pcre-8.45.tar.gz 리눅스 nginx 소스 컴파일 및 설치.. 2021. 8. 19.
SSH 로그인 RSA방식(공개키-개인키) 정의 비밀번호가 아닌 RSA(공개키-개인키)를 이용한 방식의 SSH 로그인 자동화(or 스케줄링 처리 스크립트 등) 시스템을 이용해서 타 서버에 SSH로 접근할때는, 비밀번호 로그인방식보다, RSA(공개키-개인키) 방식으로 사용할때가 많다. 이유는 회사의 보안주기에 맞춰서 계정의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해주어야 하는데, 이때마다 연관된 비밀번호를 모두 교체해주는 방법은 사용자의 실수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RSA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면, 내 공개키가 배포된 서버로는 내 개인키의 비밀번호만 알면 접근이 가능하다.) ※ 해당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RSA 암호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SSH Key 만들기] SSH Key생성, "-t rsa" RSA 암호화 방식으로 키 생성 SSH 키파일 저.. 2021. 7. 20.
네트워크 부하분산 Load Balancing(DNS vs GSLB) Load Balancing 는 네트워크를 구성할때 서버들의 부하분산을 위해서 적용하는 개념입니다. Load Balance를 하는 방식은 크게 2가지 인데, DNS레코드를 추가하는 방식의 부하 분산 L4/L7 스위치를 이용한 GSLB방식 두가지 방식의 가장 큰 차이는 'Health Check'를 하는가? 하지 않는가? 에 있습니다. DNS 방식 : 헬스체크를 하지 않는다. GSLB 방식 : 헬스체크를 한다. 헬스체크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서버가 장애가 나서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도, DNS가 장애가 난 서버의 IP를 알려줄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사용자는 "서버를 찾을 수 없습니다" 메시지를 받게 될것입니다. 그러나, GSLB는 헬스체크를 지속적으로 합니다. 만약 하나의 서버가 장애가 발.. 2021.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