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 Knowledge/기타35

AI가 발전하는데 기술블로그가 설 자리가 있을까? 요즘 나의 기술블로그에 들어오는 접속자수가 나날이 줄어들고 있다. 일평균 방문자 300에서 100명 단위까지 내려왔는데... 요즘 게시글을 자주 올리지 않아서 일까?물론 그러한 탓도 있겠지만, 요즘 생각에는 AI가 발전하면서 사람들이 기술을 알고자 기술블로그와 같은 게시글을 검색하지 않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특히나 기술블로그를 찾는 사람들은 보통 IT기술자다.그러니 ChatGPT와 같은 AI를 더 많이, 더 잘 사용하게 된다. 뭐 실제로 나도 사용해보니 검색을 덜하게 되었다... 이렇게 되다보니... 내가 쓰고 있는 기술블로그가 과연 세상의 IT기술자들에게 도움이 되고 있을까..?점차 나의 도움이 필요한 기술자가 300명에서 100명으로 줄어들고 있는것 같다. 앞으로 기술블로그는 어떻게 될까?기술블.. 2025. 5. 20.
Spring Boot EndPoint(Liveness, Readiness) 활용 SpringBoot 2.3 부터 Kubernetes의 Probe와 통합되어서, 좀 더 Cloud Native한 경험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추가 되었습니다.  그 방법은?Kubernetes의 LivenessProbe와 ReadinessProbe가 있는데, SpringBoot 2.3부터 liveness와 Readiness의 상태를 EndPoints로 노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EndPoints/actuator/health/liveness/actuator/health/readiness 이를 통해 Kubernetes에서 아래와 같이 Probe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livenessProbe:  httpGet:    path: /actuator/health/liveness    port: 18080  init.. 2024. 8. 12.
LDAPS error "java.security.cert.CertificateException: No subject alternative DNS name matching ip address found" 이슈사항JAVA 8-181 업그레이드한 이후, LDAPS 통신시 아래와 같은 오류를 받을 수 있습니다. javax.net.ssl.SSLHandshakeException: java.security.cert.CertificateException: No subject alternative DNS name matching ip address found. 이는 LDAPS연결시 기본적으로 EndPoint 식별 알고리즘이 활성화 되었기 때문입니다.  원인LDAP서버의 인증서를 검증해서 호스트이름 검증을 준수하고 있는지 요청합니다. 만약 서버의 인증서가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예외가 발생합니다. 저의 경우에도 LDAPS을 통신하려고 하는 인증서에 주체이름(Subject name) or 주체대체이름(Subject Alte.. 2024. 7. 10.
Linux 오픈 가능한 파일 수 설정 및 확인 [최대 오픈 파일 수]최대 오픈 파일 수를 확인 할때는 Max file과 file-max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Max files(nofile)는 "한 사용자가 열 수 있는 최대 파일 디스크립터 수"입니다. #ulimit -n File-max는 "시스템 전체에서 동시에 열 수 있는 최대 파일 디스크립터 수" 입니다. # cat /proc/sys/fs/file-max# sysctl -a | grep file-max위의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위의 값이 너무 작다면 "Too many open files"에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조치방안Max File(nofile)일시적 조치 : #ulimit -n 4096영구적 조치 : #vi /etc/security/limits.confUs.. 2024. 6. 2.
RockyOS IPv6 Disable 방법 IPv6 사용여부 Check 방법방법1) /sys/module/ipv6/parameters/disable 값을 확인Enable = 0 / disable = 1  방법2) Sysctl에서 IPv6 사용하는지 Checksysctl -a 2>/dev/null | grep disable_ipv6IPv6 enable = 0 / disable = 1 방법3)  Check IPv6 address is AssignedIf IPv6 is in disabled state then get an empty output 방법4)  Check IPv6 socket using netstat ---영구적은 IPv6 Disable 하기(Permanently)# vi /etc/default/grub마지막 라인에 추가GRUB_CMDLIN.. 2024. 5. 30.
데이터 통합 프로세스(ETL vs ELT) 데이터 통합 프로세스를 다루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론으로 2가지 방법론이 있는데, ETL과 ELT 방식입니다.  여기서 E,T,L은 Extract, Transform, Load의 약어로, ETL : Extract > Transform > Load의 순으로 데이터를 처리 할것인지, ELT : Extract > Load > Transform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것인지를 다루는 방법론입니다.  지난 50년(1970년대부터)이 넘게 기간 동안 데이터 통합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던 방법론은 ETL 이었습니다. 그러나, 데이터 관리의 양, 속도 및 다양성 측면에서 새로운 요구로 인해, 기존 ETL 프로세스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인 ELT가 등장했습니다.  ETL 이란?데이터가 소스에서 Ext.. 2024. 5.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