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Knowledge162 Kubernetes JVM HEAP Size(Settings) JAVA APP에서 Heap Size를 보통 JAVA Application 을 실행할때 아래와 같이 Heap Size를 설정하는것이 일반적이다. # Java -Xms 512m -Xmx 1024m app.jar-Xms : 최소 Heap Size-Xmx : 최대 Heap Size 그러나, 컨테이너의 환경이라면, Resource 의 CPU / MEM을 필요시마다 변경이 필요하므로, Xms / Xmx 와 같이 Heap Size를 '고정'하는 건, 직관적으로 고려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컨테이너 관리자 입장에서는 메모리가 부족하다고 해서 메모리를 늘려주었는데, 왜 실제로 사용하는 메모리는 늘어나지 않는가? 하는 이슈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 따라서, 컨테이너 환경에서 JAVA Application 으로.. 2025. 3. 24. Kubernetes Cluster Version Upgrade(kubeadm)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버전 업그레이드 작업 업그레이드 순서Control-Plane 노드 업그레이드 (Control-Plane Node가 2개 이상의 경우) 다른 Control-Plane 노드 업그레이드WorkerNodes 업그레이드필요사항모든 노드가 Ready 상태Swap 비활성화Node Draining 필요. (Container Spec hash 값이 변경되었으므로, 모든 컨테이너(pod)는 업그레이드후 재시작 됩니다. 따라서, 사전에 Node Drain 을 진행해두면 영향도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업그레이드 전에 릴리즈노트를 자세히 확인이 필요. (업그레이드 되면, 일부 사용하지 못하는 command들이 나올 수 있다. ) 업그레이드 할 버전 결정. # yum list --showdup.. 2025. 3. 21. Kubernetes Garbage Collection(용량정리) Kubernetes를 운영하다보면, 아래와 같이 Node의 Disk의 용량이 많이 차는 경우가 있다. 주된 용량의 사용처는 30G. /var/lib/containerd/io.containerd.content.v1.content70G. /var/lib/containerd/io.containerd.snapshotter.v1.overlayfs 위의 경로는 Node에 Containerd에서 사용하는 용량이 많다는 것이고, 나의 경우, 사용하지 않는 컨테이너 이미지가 많이 쌓여서 생기는 현상이었다. 용량 관리를 위해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를 삭제해주는 것이 좋다. [수동삭제 방법]# crictl rmi --prune(--prune 옵션을 주면,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만 삭제할 수 있다) [자동삭제 방법].. 2025. 3. 20. HAProxy HTTP Request Header Logging Option httplog 설정시, HTTP log format으로 설정하면 아래와 같다. log-format "%ci:%cp [%tr] %ft %b/%s %TR/%Tw/%Tc/%Tr/%Ta %ST %B %CC %CS %tsc %ac/%fc/%bc/%sc/%rc %sq/%bq %hr %hs %{+Q}r" 해당 Format에서 HTTP Request Header 값을 적는 Format%hrcaptured request headers 해당 Format에서 Request Header값이 표현되게 하려면, 실제로 Frontend Section에서 원하는 Request Header를 capture해야 한다. [선택적인 Header를 캡쳐하는 방법]사용법 : capture request header len c.. 2025. 1. 10. Terraform CLI & Configuration File Terraform CLI(Command)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Terraform [global Options] [args]Usage: terraform [global options] [args] The available commands for execution are listed below. The primary workflow commands are given first, followed by less common or more advanced commands. Main commands: init Prepare your working directory for other commands validate Check whether the configuratio.. 2024. 10. 7. Terraform 설치하기(Linux, Windows) 테라폼을 시작하려면, 먼저 테라폼 CLI를 설치해야 합니다. [Terraform 설치하기]Mac OS$ brew install terraformWindows$ choco install terraform패키지 매니저 사용이 어려운경우테라폼 바이너리 빌드 파일 제공※ chocolatey(초코)는 윈도우 패키지 매니저Terraform 바이너리 빌드 파일 : https://developer.hashicorp.com/terraform/downloads [Linux]Yum 설치$ sudo yum install -y yum-utils$ sudo yum-config-manager --add-repo https://rpm.releases.hashicorp.com/RHEL/hashicorp.repo$ sudo yum -.. 2024. 10. 6. 이전 1 2 3 4 5 ··· 27 다음 반응형